티스토리 뷰
1. 허리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
허리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하지 방사통이 있습니다. 하지 방사통에 대해 간단히 말씀 드리면 엉덩이 이하 다리에서 발생하는 통증, 저린감, 감각 저하 등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허리가 아프고 하지 방사통이 생기는 게 디스크에 의해서만 생기는 게 아닙니다. 다른 여러 가지 그러한 이유에 의해서도 생기는 경우들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것은 무거운 물건 등을 들 때 허리가 살짝 삐끗해서 단순 요통 근육통, 염좌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만성적으로 허리가 약해져서 흔들리는 척추불안정증이 있어도 늘 허리가 무겁고 불편할 수가 있고, 그 부위가 살짝 더 흔들리게 되면 갑자기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엉덩이 근육 중에 꼬리뼈랑 대퇴 뼈 사이를 연결하는 이상근이라고 하는 근육이 있습니다. 이 근육 밑으로 좌골 신경이 허리에서 나와서 골반을 따라서 이상근 밑을 통과하여 다리 쪽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런데 이 근육이 뭉치거나, 긴장하여 탱탱해지면 그 밑으로 지나가는 좌골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그때 신경이 지나가는 길을 따라 땡기고 저리고 하는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증상이 마치 하지 방사통 과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 증상을 이상근증후군 이라고 부릅니다. 이처럼 허리에 문제가 있어서 통증이 생기는 이유가 단지 디스크 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디스크에 의해서 생기는 허리 통증과 하지방사통을 쉽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준비해 보았습니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3가지 방법은 하지직거상 검사와 Flip sign, 그리고 대퇴 신경통을 검사하는 대퇴신경 신장 검사가 있습니다.
2. 하지직거상 검사
하지직거상 검사란 글자 그대로 다리를 곧게 들어 올려보는 검사를 말합니다. 다리를 쭉 뻗고 편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발목 쪽을 잡고 다리를 들어 올려 봅니다. 다리를 들어 올리다 보면 본인이 불편하던 허리 통증 이라든지 다리가 땡기고 하는 증상이 재현이 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렇게 다리를 들어 올렸을 때 재현이 되면은 하지 직거상 양성 소견이 생겼다고 하고, 이때는 허리디스크를 강력하게 의심을 해 보아야 합니다. 하지직거상 검사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허리에서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디스크를 지나서 구멍을 통해 가지고 다리 쪽으로 쭉 내려가게 되는데, 편안하게 누워 있을 때엔 그 신경이 이완이 된 상태로 가만히 있게 됩니다. 그래서 디스크 환자 같은 경우는 앉았다 일어날 때는 통증이 심해지고 통증이 다리까지 생기는데, 누워있을 때는 좀 편안한 경우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다리를 쭉 들어 올리게 되면 허리 까지 연결되어 있던 그 신경이 팽팽하게 잡아당겨 집니다. 이때 신경이 지나가는 부위의 디스크가 터졌거나, 터진 디스크 덩어리가 신경을 누른다거나, 아니면 디스크가 신경을 누를 정도로 터지지는 않았지만 디스크를 싸고 있는 막이 찢어져서 거기서 자극을 받게 되면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디스크가 나온 자리에서 딸려 내려오지 못하고 서 딱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딱 걸리게 될 때 그때 본인이 불편했던 증상이 재현이 되게 됩니다. 자기 진단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편안하게 누워 있는 상태에서 다리를 한번 들어 올려 봅니다. 먼저 아프지 않은 쪽 다리를 먼저 들어 올려 봅니다. 보통 디스크는 한쪽이 아픈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허리 통증이나 아픈 쪽 다리가 있는 쪽 반대편 다리를 먼저 들어 올려 봅니다. 2) 이번에는 반대편에 힘을 주고 아픈 쪽 다리를 들어 올려 봅니다. 들어 올리는데 정상인 곳까지 올라가면 상관이 없습니다. 문제는 그렇게 되기 전 20~30도 정도 올라갔을 때 허리가 아프면서 다리가 땡기는 증상이 생기면 허리 신경에 상술한 원인으로 인한 자극이 생겼다고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즉 허리디스크 탈출증 또는 허리디스크 열상을 의심해 보고 서둘러 진단을 받아 보셔야 합니다.
3. 플립사인(Flip Sign) 및 대퇴신경신장검사 자가진단법
1) 의자에 앉아서 허리를 펴고 무릎을 90도로 구부린 다음, 안 아픈 쪽 다리를 쭉 뻗어 봅니다. 90도 가량 올라갈 때 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것을 확인합니다. 2) 이번에는 아픈 쪽 다리를 뻗으며 들어 올려 봅니다, 문제가 있다면 다리를 올리면서 마치 폴더폰이 열리듯 몸이 자기도 모르게 뒤로 젖혀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현상을 플립 사인이 라고 이야기 하며, 이런 증상이 보이면 플립사인 양성 소견이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런 증상이 보이면 디스크가 아닐까 한번 의심을 해 봐야 되고, 그 증상이 오래 지속이 되거나 계속 불편함을 느낀다면 정확하게 진단을 받아야 할 필요성도 있습니다. 하지 방사통을 유발하는 신경은 좌골신경 뿐만 아니라 대퇴 신경에도 있습니다. 그래서 대퇴 신경을 늘려보며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도 하지방사통 진단을 하기도 합니다. 대퇴 신경은 앞쪽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엎드려서 무릎을 구부려 보면서 대퇴 신경을 늘려 보는 방식으로 확인을 합니다. 1) 편안하게 엎드려 다리가 쭉 뻗어져 있는 상태에서 안 아픈 쪽 무릎을 구부려 봅니다. 발뒤꿈치가 허벅지에 닿을 때 까지 별다른 통증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2) 아픈 쪽 무릎을 구부려 봅니다. 이때 증상이 재현되면서, 통증 때문에 허리를 웅크리게 됩니다. 이 경우 대퇴 신경신장 검사 양성 소견으로 인지하고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동맥고혈압 증상과 진단, 치료에 관하여 (0) | 2024.01.27 |
---|---|
당뇨병초기증상, 당뇨수치와 의심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4.01.26 |
겨울철 빙판길 넘어짐! 손목 골절의 증상과 대처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4.01.22 |
치매 예방 및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보충제와 음식들 (0) | 2024.01.21 |
치매 예방법! 3권 3금 3행만 지키세요! (0) | 2024.01.20 |